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자연 재난 행동요령- 침수 예방 대비.

by 로벨리아_k 2019. 7. 11.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재난예방대비 - 침수

호우예보시
ㆍ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ㆍ 침수나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ㆍ 하천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호우주의보 경보시
1. 도시지역
ㆍ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은 안전을 위해 사전에 대피하거나 주민대피명령이 발령될 경우 대피장소 또는 안전지대로 반드시 대피한다.
ㆍ 대형공사장,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
ㆍ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ㆍ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ㆍ 공사장근처는 가까지 가지 맙시다.
2. 해안지역
ㆍ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ㆍ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ㆍ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ㆍ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ㆍ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ㆍ 공사장근처는 가까지 가지 맙시다.
ㆍ 해안도로에서는 운전하지 맙시다.
3. 농촌지역
ㆍ 저지대, 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ㆍ 집주변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를 준비합시다.
ㆍ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ㆍ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ㆍ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ㆍ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ㆍ 모래주머니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합시다.
4. 산악지역
ㆍ 산사태 발생지역의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ㆍ 재배시설등의 피해를 줄이려는 조치를 합시다.
ㆍ 기상정보와 강우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호우가 지나간 후에는
ㆍ 집에 도착후에는 들어가지 말고, 구조적 붕괴가능성을 반드시 점검합시다.
ㆍ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출처: [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

 

해마다 여름이면 많은 비가 내리는데, 올해는 절처한 대비로 별다른 피해없이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